[연재]강박사의 토요 시(土曜 詩) 마음자리
[연재]강박사의 토요 시(土曜 詩) 마음자리
  • 강길봉
  • 승인 2019.12.28 23: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간(時間)에 기대어......

글을 쓰는 일은 몸으로 마음과 시간을 태우는 일이다. 글을 쓰기 위해 버티고 앉아서 마음을 태운다는 것은 삶의 근원적 문제를 맞이해서 골몰이 사색에 잠기는 행위이다. 인생이라는 시간 길을 걸어오면서 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문제는 무엇인가. 요즘 나를 비롯해 우리들은 어떤 문제에 사로잡혀있는가. 그것이 바람처럼 ‘휙~‘ 지나가는 일회적 문제인가 아니면 진정 중요한 문제인가. 그 문제의 본질은 무엇이고 그것을 해결하는 실마리는 있는가. 있다면 그것은 무엇이며 내가 할 수 있는 일인가 여러 공론을 모아야 할 것인가 그도 아니면 시간에 맡겨야 할 것인가 등등을 고민하는 일이다. 나는 마음을 태우는 일, 즉 삶에서 어떤 문제의식이나 주제에 대한 고민을 주로 서재에서 하거나 혼자만이 시간을 갖고 집 근처 천변을 걸으면서 한다.

글을 쓰기 위해 몸으로 시간을 태우는 일이란 마음을 구제화하기 위해 시간을 쓰는 작업이다. 고민해 볼 가치가 있는 주제나 문제가 나름 결정되면 관련된 글을 찾아서 읽어보며 시간을 쏟아 붓는다. 주제에 대한 다양한 해설 입장을 살펴보고 어느 땐 논문까지도 뒤져본다. 이러한 과정은 어느 한 쪽으로 글의 내용이 치우치지 않도록 균형(均衡)감을 잡으면서 내가 하고자 하는 애기를 하기 위해서다. 글은 그 수준이 높고 낮고 여부를 떠나 천박(淺薄)하지 않아야 하고 맑아야(淸) 한다. 나의 주장이 누구인가의 마음에 상처를 주어서는 안 된다. 특히 정치인이 표를 몰이하고 상급자가 지위를 이용해 부하를 훈계하고 이해득실에서 뭔가 교묘하게 이익을 챙기려고 글을 쓰는 일은 삼가야 한다. 누구에게 생각을 강요하려는 우(愚))를 범하지 않기 위해 글에 모난 각(角)이 있는가 신경 쓴다. 글이 맑지(淸) 못하면 읽고 나면 쓴맛이 나고 세상을 더럽히기 때문이다. 글을 맑게 하기 위해 쓴 글의 서너 배의 글을 몇 번씩 지우다보면 가뭄에 논 물이 줄 듯 글이 줄어든다.

실습 실험 중심의 의예과 이공대 영역은 문외한(門外漢)이라 정확하게 모른다. 하지만 인문사회계열의 석박사과정은 강의/관계/글읽기/글쓰기가 주종을 이룬다. 석박사과정도 아직은 공부가 홍시(紅柿)감처럼 익지를 않아서 이미 선행(先行) 논문과 관련 교재 기사 등을 분석 정리한 것에 자기 생각을 조금 보태면 그것으로 좋은 논문이 된다. 박사학위를 받은 지가 이십오 년이 지났으니 남이 한 얘기를 그대로 쓰는 것조차 무례하다 생각이 든다. 가능한 참고만 하고 남의 문장을 가져오지 않기 위해 문장 어휘 단어를 선택하는 데 시간을 쓴다. 항상 나의 맘과 몸으로 나 다운 글을 쓰자고 즉, 진정(眞正)성을 유지하려고 한다. 그것이 어려우면 그만 두자고 마음을 다진다.

토요 시 연재를 위해 금요일 학교 강의 끝나면 만사를 제쳐 놓고 곧바로 집으로 온다. 며칠 동안 고민했던 토요 시에 주제를 도출하기 위해 문장 하나를 만들고 어떻게 쓸 것인가를 잡아놓고 잔다. 토요일 새벽 3시쯤 일어나서 아침 일고여덟 시까지 글을 쓴다. 그 다음 두어 번 읽고 수정한 뒤 밴드에 올리고 잔다. 열두 시 쯤 일어나서 토요일을 맞는다. 박사학위 논문을 쓸 때는 저녁 밥 먹고 서재에 들어가서 새벽까지 글을 쓰는데 겨우 1/3페이지 정도밖에 글을 쓰지 못 한 때도 많다. 어느 땐 밤새 너무 지쳐서 “아침에 자다가 죽는 것 아닌가 두려울 때도 있지만 어쩔 수 없다.” 생각을 하며 잠을 청하기도 한다. 타고난 재주가 없는 나에겐 글을 쓰는 것은 몸으로 마음과 시간을 태우는 듯하다. 그래도 전공분야의 논문이나 교재를 읽는 것보다는 재미있다. 인생에 대한 글을 쓰고 내가 쓴 글을 열 번도 더 넘게 다시 읽으며 산다. 그것이 요즘의 나의 시간 길에서 다소의 위안이 되기 때문이다.

2019.7.27.일 토요 시 연재를 결정하고 시작할 때, 6개월 24회까지만 쓰자고 시작했는데 5개월이 끝나간다. 2019.12.28. 토요 시 연재는 22회 째이다. 매주 토요일 A4 용지 서너 장의 글을 쓰는 것은 만만하지 않다. 5개월 째 불금을 포기한 상태다. 마음이 가난한 사람을 위해 , 죽음은 동반자 없이 홀로 먼 길을 떠나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외롭고 쓸쓸한 사람들을 위해 당분간 글을 계속 연재하고자 한다.

나는 일회적(一回的)일 수밖에 없는 시간 길에서 글을 많이 접하며 사는 행복을 누리고 있다. 강의가 없는 날엔 대부분은 혼자 텃밭에 가거나 서재에서 글을 대하고 산다. 사람 관계에 서투르거나 모난 데가 많은 나로서는 차라리 그게 여러모로 낫다. 내가 접했던 수많은 글 중에서도 가장 내 맘에 드는 문장 중 하나는 다음과 같다.

인간(人間)은 우주만물이라는 자연(自然) 속에서 잠시 여숙(旅宿)하다 간다

이 문장에서 특히 ‘잠시 여숙하다 간다.’라는 대목이 가장 맘에 든다. 한국어가 갖는 간명성인 '간다'라는 절대 동사도 마음에 든다. 그리고 '잠시 여숙'이라는 용어도 퍽 마음에 든다. 그렇다. 인간은 누구든 잠시 잠깐의 주어진 시간과 공간(자연) 속에서 살다 간다. 인간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돈 권력이 아니라 시간이다. 살아온 날보다 살아가야 할 시간이 훨씬 적은 사람에게 시간은 절대적이라고 볼 수 있다. 인간의 생명은 별똥별처럼 찰나적이기 때문이다. 역사학자 헤라크레이토스(Herakleitos)도 “시간이란 모든 것을 집어 삼키는 괴물처럼 우리에게 무턱대고 말하자면 모든 것을 무(無,null)로 돌리는 가차(假借) 없는(relentless) 힘이다.”라 했다. 웨스트민스터 대성당에서 조지프 애디슨(Joseph Addison) 또한 시간을 다음과 같은 시로 표현했다.


위대한 사람들의 무덤을 바라볼 때 / 내 마음속 시기심은 모두 사라져 버린다.

미인들의 묘비명을 읽을 때 / 무절제한 욕망은 덧없어진다.

아이들 비석에 새겨진 부모들의 슬픔을 읽을 때 / 내 마음은 연민으로 가득해진다.

하지만 그 옆에 있는 부모들 자신의 무덤을 볼 때

곧 따라가 만나게 될 사람을 슬퍼하는 것이 / 얼마나 헛된 일인가를 깨닫는다.

쫓겨난 왕들이 그들을 쫓아낸 사람들 옆에 / 묻혀 있는 것을 볼 때

또 온갖 논리와 주장으로 세상을 갈라놓던 / 학자와 논객들이 나란히 묻힌 것을 볼 때

인간의 하잘것없는 다툼, 싸움, 논쟁에 대해 / 나는 슬픔과 놀라움에 젖는다.


이 시는 위대한 인물, 절세미인도 시간 앞에서는 유골처럼 덧없다는 게다. 또한 절대 권력을 가지고 시간차(時間差)로 서로 죽이고 죽은 황제들의 행동과 온갖 논쟁으로 핏대를 올린 학자와 논객들의 주장들이 시간 앞에서 얼마나 무의미한 것인가. 사랑하는 가족(아들과 부모)이나 연인을 잃고 죽을 만큼 통곡한다. 마치 따라서 죽을 만큼 서럽더라도 얼마 지나지 않아 그 옆에 백골이 되어 나란히 누울 것이다. 그런 슬픔조차도 시간 앞에서는 헛되고 헛된 것이다.

시간이란 무엇인가? 크게 관념론, 실재론, 상관론 등 세 가지 관점에 의해 설명되고 있다. 첫째, 관념론적 시각이다. 시간이란 실제로 보고 만지고 측정할 수 없는 실체(entity)가 없는 하나의 환상(illusion)이다. 완전한 상상의 허구(figment)이고 마음 바깥의 어떤 대응(contrast)물도 없다. 단지 관념(觀念, idea)일 뿐이라는 견해이다. 우리가 당연시 인식하고 경험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과거도 이미(any more) 존재하고 있지 않고, 미래는 아직(as yet) 존재하고 있지 않다. 유일한 실재(實在)인 현재 또는 지금도 극히 미소하거나 과거나 미래가 접(contact)하는 움직이는 접합점이다. 그 접합점조차도 넓이가 없고 단지 흘러가고 있을 뿐이다. 요컨대 우리가 2019년 12월도 지나가고 2020년이 오고 있다고 인식하고 생각(논리세계에서의 약속)하기 때문에 시간이 있는 것처럼 보일 뿐이라는 입장이다. 관념론자들은 시간을 강(江)의 흐름을 중심으로 설명하려고 시도하기도 했다.

둘째, 실재론적 입장이다. 시간을 재(측정)는 시계는 관측 가능한 과정, 즉 지축을 중심으로 도는 지구의 자전에 바탕을 두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관찰가능하고 경험할 수 있는 것이므로 시간은 존재한다는 입장이다. 시간은 보고 만질 수 없는 것이라 할지라도 태어나고 성장해가고 어느덧 늙어가는 경과과정을 경험하고 느낄 수 있다. 개인이 성장과 성숙 더 나아가서 역사적 산물들을 통해 시간의 존재를 추론해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는 것이 실재론을 정당화시켜준다. 실재론은 시간의 기능적 측면을 중시한다. 동시에 시간을 인간들의 삶의 주요환경(중세나 근세, 근대와 현재, 21세기 등)에 비중을 둔 개념이라 생각된다.

셋째, 상관론의 시각이다. 시간은 관념론에서와 같이 하나의 의식이다. 또한 시간의 흐름은 자연계에서 일어나는 사상(事象)의 계기<the flow of time is the succession of events in natural system>이다. 즉 인간사에서 수많은 사건이 있어도 그것을 의식(인식)하지 않는다면 시간도 없는 것이다. 의식 없이 시간은 없지만 사상과 사건 없이도 시간은 존재한다. 시간의 경험성 혹은 후천성(a posteriori)을 인정한다.

시간은 사상(사건)의 전/후, 앞과 뒤, 과거 현재 미래라는 요소로 논리적이든 실재적이든 아니면 이를 통합한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시간을 어떻게 개념화하든 간에 그것은 인간의 모든 것을 결정 짓게 한다. 인간은 시간이라는 텃밭에서 태어나고 자라고 성장해가고 늙어간다. 시간은 인간에게 삶도 주기도 하지만 결국 빼앗아간다. 시간은 인간에게 치명적 혼란(mortal chaos), 즉 단기적으로는 인간의 무력감과 유한성을 주지만 결국 죽음, 인간의 절멸(絶滅)을 가져다준다.

시간이 인간에게 주는 메시지는 무엇인가. 우리가 영겁의 시간 길에서 찰나를 사는 생명체라는 것을 매일매일 명심해야 한다. 매일매일 몇 개월 아니면 몇 년을 시간 외에 것에 ‘푹~’빠져 지낼 만큼 인생이 길지 않다. 우리가 무시하는 많은 동물들도 몸에 필요한 먹거리의 70% 이상은 챙기지 않는다. 인간들도 먹고 입고 자는 것을 위해 필요 이상의 돈을 벌려고 많은 시간을 쏟아 붓고 있는 것을 가능한 삼가야 한다. 매일매일 가뭄에 논 물 마르듯 시간이 줄어들고 있는 데도 천년만년을 살 듯 그것을 망각하고 산다는 것은 참으로 어리석다고 본다. 나이가 들수록 건강과 재미와 행복을 위한 시간에 마음을 기대어야 한다. 현재 갖고 있는 것을 지키고 더 많이 갖기 위한 싸움 시기 질투 미움보다 함께 즐겁게 살기 위해 애써야 한다. 어찌 보면 시간차가 다소 있겠지만 시간 길이 끝나면 모두 나란히 묘비(墓碑)에 누워있어야 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얼마 전에 인류 곁을 떠난 스티브 잡스(Steve Jobs)의 마지막 유언을 기억하지 않는가.


At this moment, Lying in the sick bed and recalling my whole life. I realized all the recognition and wealth that I took so much pride have paled and become meaningless in the face of impending death. ~~중략 ~~

Now, I know When we have accumulated sufficient wealth to last our life time, We should pursue other matters that are unrelated to wealth, Should be something that are more important. (They are only the memories precipitated by love, That’s the true riched which will follow you, accompany you, giving you strength and light to go on.) Perhaps relationship, perhaps art, perhaps a dream from younger life. non stop pursuing of wealth will only turn a person in to a twisted being, just like me.

죽음이 임박해가는 지금 이 순간, 병상에 누워 나의 모든 인생을 되새김질해보면 내가 그토록 자부해 왔던 돈과 명성은 무의미하고 퇴색된 것이라는 것을 깨달았다. ~ 중략~ 이제 비로소 나는 알게 되었다. 우리들의 남아있는 시간 길을 버티게 해주기에 충분할 만큼의 돈을 모았을 때, 돈과는 전혀 관계없는 가치를 추구했어야만 했다. 그것들은 오직 사랑으로 알알이 맺힌 추억(追憶)들이다. 이러한 추억만이 그대를 이끌고 동반해가며 힘과 삶의 밝은 빛을 가져다 줄 진정 가치 있는 것이기 때문이다. 아마도 가족 형제 이웃과의 따뜻한 관계, 예술과 취미, 돈이 없어 젊을 때 포기했던 수많은 꿈, 사랑, 여행 등이다. 결국 얼마간의 돈이 있을 때, 돈을 더 버는 데 애간장을 태우는 행위를 멈추지 못했기 때문에 나처럼 삶의 본질조차 망각한 ‘잘못 산 인생(a twisted being)’이 되었다고... 후회하는 글이다. < ( ) 뒷 문장을 재구성한 것임.>

 

자연(비와 그 모여짐의 바다와 강물)과 인간과 시간의 관계를 멈춤과 흐름, 젖음과 젖지 않음이라는 용어에 의해 읊은 시인이 있었다. 밀양에서 출생했고 동아대 법대를 나와 서울예대 교수를 지냈고 구로구 개봉동에서 오랫동안 살다 작고 한 오규원(1941.~2007.)교수이자 시인이다. 나는 (나는 한 잎의 여자를 사랑했네. 물푸레나무 한 잎 같이 쬐그만 여자, 그 한 잎을 사랑했네. ~~생략~~ ) 등을 <한 잎의 여자>라는 시로 읊은 시인의 존재를 알게 되었다. 이 시를 단초로 해서 시인의 많은 시를 접하게 되었다. 그 중 가장 내가 애착을 갖는 시는 이번 주 토요 시로 소개할 <비가와도 젖는 자는>이다. 그 전문(全文)은 다음과 같다.


강가에서  - 오규원 -

그대와 나는 비를 멈출 수 없어 / 대신 추녀 밑에 멈추었었다

그 후 그 자리에 머물고 싶어 / 다시 한번 멈추었었다

비가 온다, 비가 와도 / 강은 젖지 않는다. 오늘도

나를 젖게 해놓고, 내 안에서 / 그대 안으로 젖지 않고 옮겨 가는

시간은 우리가 떠난 뒤에는 / 비 사이로 혼자 들판을 가리라.

혼자 가리라, 강물은 흘러가면서 / 이 여름을 언덕 위로 부채질해 보낸다.

날려가다가 언덕 나무에 걸린 / 여름의 옷 한자락도 잠시만 머문다.

고기들은 강을 거슬러 올라 / 하늘이 닿는 지점에서 일단 멈춘다.

나무, 사랑, 짐승 이런 이름 속에 / 얼마 쉰 뒤

스스로 그 이름이 되어 강을 떠난다.

비가 온다, 비가 와도 / 젖은 자는 다시 젖지 않는다.


한 번 읽어보고 여러 번 읽어봐도 ‘팍!’ 감이 오지 않을 수도 있다. 이시는 형식상 자유시 서정시이나 다분히 관념적인 성격이 강한 시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비와 강물이라는 구체적 대상과 시간이라는 추상적 단어로 인간과 생명체가 살아가고 있는 현실성과 현재성을 제시하고 있다. 주제어를 간추리면 시간과 자연(비와 강물)과 인간과 생명체(고기, 인간, 나무, 인간의 사랑이라는 마음, 짐승, 심지어 여름이 한 옷자락 등)이다. 이 삼자 간의 사건 사상의 흐름은 멈춤과 흐름, 젖음과 젖지 않음이다.

첫 연은 강가에서 비가 오고, 생명체인 그대와 나는 자연의 흐름(자연의 순리)에 어찌할 수 없어 처마 밑으로 들어가 멈췄다. 그리고 그 추억이 그리워 다시 그곳에 갔다(자연과 인간의 관계에서 인간의 한계성).

제 2연은 비로 범벅이 된 강이 비가 와 강물이 많이 불었다고 해서 강물의 속성까지 변하는 것이 아니다. 비가 와도 강은 젖지 않는다(자연의 영구불변성). 시간 또한 강물처럼 아니 강물보다 더 강력할 수도 있는 신이 인간에게 행하는 칼자루와 칼날이다. 시간은 비나 강물도 유유히 스치고 지나가는데 인간과 인간의 마음까지 송두리째 젖게(운명을 좌우)하고 홀로 자유롭다(시간과 자연 앞에 무력한 인간의 유한성 무력감).

제 3연은 강물과 시간은 한 여름 밤의 꿈같은 인생(한 여름의 옷자락)마저도 잠시 머물게 할 뿐이다(제1 연과 제2 연의 의미를 다시 재현).

제 4연 모든 생명체들은 여러 가지 이름(고기, 사랑, 짐승, 나무)으로 자연(시간과 강물)을 거슬려 그들만의 꿈을 위해 애쓰지만 그것마저도 잠시일 뿐, 시간이 지나면 그들의 삶의 터전이라는 강을 떠난다. 강물과 시간은 인간에게서는 초월적인 힘이다.

마지막 연은 자연과 시간을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하고 순응하고 이를 맞이하고 비를 맞는 것이 인간이다. 여름 중 단 며칠 정도밖에 되지 않는(한 옷자락) 시간길이라는 명심해야 한다. 미움과 싸움 분노와 슬픔이란 것조차도 아까운 시간을 허비(虛費)하는 것에 불과하다. 우리는 시간을 재미와 행복 의미 있는 삶에 할애하여 쓰는데 주력해야 한다(젖지 않는 자->젖는 자). 그것이 시간과 자연을 진정으로 극복하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본다.

결국 자연과 시간이라는 거대하고 막강한 환경 상황에서 인간은 그것을 순응하되 의미 있게 사는 일(스티브 잡스의 사랑으로 알알이 맺힌 추억)에 보다 마음을 쏟아야 한다는 메시지다.

Pixabay로부터 입수된 Tomasz Marciniak님의 이미지 입니다.
Pixabay로부터 입수된 Tomasz Marciniak님의 이미지 입니다.

관념적이든 아니면 사랑으로 가득차거나 슬픔으로 뒤범벅된 시간이든 2019년의 한 해가 사나흘 남았다. 한 해를 잘 버틴 내 몸과 마음에게 감사와 고마움을 보내고 그렇게 내 맘과 몸을 살게 해 준 가족과 친구들에게 또한 감사를 드리자. 그리고 자연에게 감사를 드리고 시간을 허(許)하여 준 하나님께 감사를 드리며 또 다른 한해가 있다면 그 한 해를 겸허하게 맞이하자.

2019.12.28. 8:15 강길봉 드림


강길봉

강길봉 박사
강길봉 박사

약력:
* 순천 태생, 순천매산고/단국대 법대(5.16 장학생)/고려대 대학원 졸(행정학석사/박사)
* 고시학원 강의(종로/노량진/신림동 24년)
* 고려대, 서울시립대, 행정안전부, 광운대 강의(외래/겸임/강의전담교수)
* 최신행정학(육서당,2000, 20판), 최신행정학(새롬, 15판) 행정학개론(21세기사,2019), 외 저서 및 논문다수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